부산대학교는 16개의 학부가 있다.
밀양캠퍼스 (밀캠)은 16개의 학부 중 하나인 생명자원과학대학이 모여있는 캠퍼스이다.
그리고 그 생명자원과학대학교엔 11개의 학과가 있다.
이번에는 그 11가지 학과에서 배우게 될 전공, 학과의 연구실, 취업분야 같은 것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번 글은 개인적인 생각을 약간 추가한 각 학과 홈페이지의 정보를 참고한 짜집기 글이니 참고 바란다.
1.식물생명과학과
학과 소개
-작물의 생산성 향상 품종개량
-한약재 식물개발
-새로운 기능성 물질의 창출 및 환경적인 생산을 위하여 전통적 육종방법
-생명공학적 기법을 이용한 작물 유전형질의 개량
-기상, 토양, 잡초, 병해충 등 환경요인과 작물의 상호관계의 종합적 이해를 통한 효율적 작물생산 체계 개발에 대한 이론과 응용을 연구
전공
전공필수-식물유전학, 식물작물학 및 실습, 식물생화학, 생명과학실험설계,약용작물학실습,공예작물학및실습,식물육종학,벼의 과학 및 실습, 식물생명공학
전공선택-식물환경기상학,식물분자생물학,식량작물학 및 실습, 식물영양학및실습,원예학개론,식물자원/조경논리논술,식물분자생물학, 식물보호학, 종자학, 식물세포조직배양및실습,식물육종학 등등..
연구실
식물육전학실, 식물육종공학실, 식물기능유전체실, 벼연구실,
기능성작물연구실
취업분야
-국립종자원,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등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
-농어촌개발공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국제식물검역인증원 등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준정부기관
-농촌진흥청 산하의 연구직 및 지도직
-KT&G, KGC인삼공사, 농협, 농약회사, 종자회사 등
-영농후계
홈페이지 주소
부산대학교 식물생명과학과
plant.pusan.ac.kr
전공 과목을 보아 육종에 포커싱이 꽤나 맞춰진 듯 하다. 그리고 연구실도 모두 유전, 육종 쪽인 걸 보아 육종의 비중이 큼
과 이름 답게 식물 전반적인 지식을 배우는 듯 하다.
학교 축제때 벼와 콩과 같은 작물의 시료를 전시하는 것을 보아 작물 중점
2.원예생명과학과
학과 소개
-분자생물학과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식물 유전자 연구 및 신품종 개발
-원예·약용식물로부터 신기능성 천연물질의 순수분리, 구조동정 및 산업화
-병질환 예방용 원예작물 및 식의약품 개발
-첨단시설 환경제어를 통한 과학적 재배관리와 기술집약적 친환경 생산체계
-생산 후 부가가치 증진을 위한 저장·가공·유통 기술개발과 산업화
-식물의 정서적 기능과 사회원예학에 기반한 원예치료와 그린 인테리어
전공
전공필수-화훼원예학총론, 수확후생리학, 종자학, 채소원예학총론, 과수원예학총론, 식물생장조절론, 조원학, 기초분자생물학, 시설원예학, 관상원예학
전공선택-토양비료학, 식물병리학, 원예식물번식학, 화훼원예학각론, 원예산물저장이용학, 채소원예학각론, 화훼장식학, 원예작물육종학, 환경원예학, 친환경농업, 기능성소재학, 원예치료, 식물조직배양학 등등..
연구실
화훼원예학실험실, 천연물화학실험실, 원예생산공학실험실, 수확후관리가공실험실, 식물유전체분자육종실험실
취업분야
농림/식품부 산하 기관의 행정/연구직 |
국제식량기구(FAO) |
교수 및 연구원 |
종묘/생명공학회사 |
학교 |
플로리스트 |
농업기술/경영 컨설팅 |
홈페이지 주소
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horticulture.pusan.ac.kr
식물생명과학과와 원예생명과학과 둘다 식물을 다루어 사실 과 이름만으로는 구분이 잘 가지 않는다.
(여기서 원예란 꽃이 아니라 과수, 채수, 화훼 모두 포함하는 단어이다)
하지만 커리큘럼을 보면 원예생명과학과는 화훼, 과수, 채소 모두 관여하는 듯 하고 육종도 다루나 그 외의 분야도 다양하게 다루는 듯 하다. (콩, 벼의 비중은 조금 낮은듯)
3.동물생명자원과학과
학과소개
경제동물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 동물자원과학과 첨단 생명과학 기술과의 융합을 통하여 고부가가치 동물성 식품의 생산은 물론 인간에게 유용한 경제동물 생산 및 소재개발, 동물과 인간과의 공존의 방법을 폭넓게 탐구하는 등 경제동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극대화시킴은 물론 동물 친화적 인간 삶의 질 향상을 끊임없이 추구하는 분야이다. 첨단 생명공학과의 접목을 통하여 경제동물의 개량.육종, 효율적 번식, 형질개선과 경제적 영양 관리 체게를 연구할 뿐 아니라 동물성식품에 대한 기능성 강화 및 생산물의 가공을 위한 이론과 기술을 개발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전공
전공필수-동물번식생리학, 식육과학,동물유전체학, 동물영양학, 동물육종학, 동물세포공학, 응용동물번식학, 응용동물육종학, 동물사료학 및 사양학, 유가공학
전공선택-동물식품학개롤, 동물단백체학, 동물해부생리학,동 물행동심리학, 실험동물학, 경주마생산정보학, 동물내분비학, 현장기본실습, 동물생명자원, 동물자원교육론, 동물식품위생학, 동물자원논술
연구실
축산가공실, 동물유전공학실, 동물번식생리실험실, 동물육종학 실험실, 동물영양생리실험실
취업분야
-유관대기업(카길퓨리나코리아, CJ, 대한제당, 이지바이오, 우성사료 등), -생명공학관련 기업, 연구소(축산과학원, 수의과학연구소, 식품과학연구소, 축산물품질평가원 등),
농협중앙회, 마사회, 육가공회사(롯데햄, 하림, 동원 등), 유업회사(서울우유, 남양우유, 빙그레, 야쿠르트, 파스퇴르, 부산유업 등),
-농업기술센터, 지역축산농협, 공무원,2급 정교사, 대학원진학, 유학, 동물약품회사, 가축방역사업소, 대한양계협회, 대한양돈협회, 대한한우협회, 대한종축계량협회, 대한낙농협회, 동물원(삼성애버랜드, 서울대공원 등), 반려동물 관련 업체
홈페이지 주소
동물생명자원과학과
animal.pusan.ac.kr
동물자원과학과는 강아지, 고양이 같은 반려동물보다는 닭, 소, 돼지 같은 가축을 주로 다루는 학과로 경주마를 전문으로 하시는 교수님이 있어 경주마 전공도 있다. 육종도 다루며 사료, 번식 등등 축산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다룬다.
*이 글은 2018년 기준의 글이며 매우 주관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자세한 학과내규에 대해선 학교에 직접 문의해주세요!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에 대한 모든것6-어떤 학과가 있는가?(3)(바이오산업기계공학과, 조경학과, 식품자원경제학과) (0) | 2020.01.20 |
---|---|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에 대한 모든것5-어떤 학과가 있는가?(2)(식품공학과, 생명환경화학과, 바이오소재과학과) (0) | 2020.01.20 |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에 대한 모든것3-밀캠 가는방법(기차,버스,택시) (0) | 2020.01.20 |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에 대한 모든것2-재학생, 새내기에게 밀양캠퍼스란? (0) | 2020.01.19 |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에 대한 모든것1-밀양캠퍼스의 정체성 (0) | 2020.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