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주변의 식물들/식물 주저리14

보리의 종류-2조보리와 6조보리/쌀보리와 겉보리 재배학의 기원지별 주요 작물에서 나온 6조보리와 2조보리. 과연 뭐가 다른걸까? ​ 보리는 알곡이 배열된 열 수에 따라서 6조보리와 2조보리로 나뉜다. ​ 6조보리(여섯줄보리) ​ 알곡이 6줄로 배열되어있는 보리. 중국지역에서 기원되었기 때문에 한국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 2조보리(두줄보리)​ ​ 알곡이 2줄로 배열되어있는 보리. 코카서스, 중동지역에서 기원되었다. ​ 그럼 쌀보리와 겉보리는 무엇일까? 보리의 탈곡 후 껍질이 종실에 밀착되어 남아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쌀보리와 겉보리를 구분한다. ​ *벼, 보리 따위의 이삭에서 낟알을 떨어내는 일 ​ 겉보리 ​ 탈곡 후 껍질이 남아있는 것을 겉보리 ​ 쌀보리 ​ 탈곡 후 껍질이 남아있지 않는 것은 쌀보리 ​ 겉보리의 비중은 1.13이고 쌀보리의 비중은.. 2020. 1. 30.
직접 보는 암형태형성&광형태형성(feat.캣닙) 다이소같은 곳에서 산 캣닢. 물 주고 창가에 두니 어느새 대부분의 싹이 났다. ​ 그런데 며칠동안 집을 비워 물을 못주게 될듯하여 화분을 창가쪽이 아닌 책상 위에 올려두고 갔더니 의도치않게 암형태형성을 볼 수 있게 되었다. ​ 가쪽의 하나가 다른녀석들보다 길고 하얗게 녀석이다. 줄기가 하얗고 떡잎이 열리지 않았으며 길이가 다른 싹보다 길다. ​ 책에 나온 암형태형성과 광형태형성의 특징을 정말 있는 그대로 다 보여준다. ​ 참고로 저 긴게 가장 최근에 나온 싹이라니 놀랍다. 그리고 이후 빛이 드는 곳에 화분을 옮기니 떡잎이 열린 모습을 보였다. 덤으로 줄기도 빳빳해졌고, 줄기도 조금 더 녹색빛을 띄는 듯 하다. 책에서만 보던걸 실제로 보게되어 정말 흥미롭다. 2020. 1. 30.
꽃이 진 감나무와 열매/씨없는감 꽃이 지고, 꽃잎은 갈색으로 말라버렸다. 초록색은 꽃잎이 아니라 꽃받침 말라버린 꽃잎 속에는 초록색의 아기 감이 숨어있다. 얘가 크고, 익으면 우리가아는 주황색감이 된다. 특정 밀양의 감은 씨가 없는 열매가 난다. 씨없는 청도반건시가 이런거다. 환경에 의한 단위결과의 산물. (단위결과-종자 없이 열매가 맺히는 현상) ​ 지인에게 물어서 대충원인이 과습한 기후와 연관된것이라고 알게되었는데, 신기방기하다. 글로 쓰고싶지만 내가 정확히 아는 지식이 아니라 못쓰는게 아쉬울뿐ㅠ ​ 더 자세히 알게되면 기회가되면 이에대해 글을쓰고싶다. 2020. 1. 30.